02/28
3월에는 실장님 주체로 주 2회정도 네트워크 기반 스터디를 하기로 했다.
점심시간 빼서 할 예정인데, 매일하면 좋겠는데... 공부한 내용들을 남겨놓을 예정.
일단 오늘은 공부내용은 아니고, 배경지식 겸 스타트 해 보려고 한다.
IDC
IDC 는 Internet Data Center로, 인터넷과 연결된 데이터를 모아두는 시설.
통신 기기인 라우터와 수많은 서버, 그리고 안정적 전원 공급을 위한 UPS 등으로 구성된다.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는 CDC 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는 그냥 IDC로 혼용 가능.
서버를 안정적으로 운용하고, 인터넷과의 연결을 고속화하고,
지리적으로 중앙집중화 시킬 필요가 있을 때 설립된다.
구성 요소는
• 서버
• 네트워크 장비 : 라우터, 스위치, 허브, 브리지 등
• 저장 장치: HDD, SSD, 테이프 드라이브, 광디스크 등
• 냉각장치
• 전원 공급장치
굉장히 많은 열을 발산하므로 냉각이 중요한데, 지형 영향을 거의 타지 않아, 냉각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Meta 같은 경우 스웨덴 북극권에 세우기도 한다고..
정전에도 굉장히 취약하다. 서버가 꺼진다면 해당 서버에 의존하던 기업의 업무나 서비스가 전부 마비되기 때문.
SK C&C의 UPS 설비의 누전으로 인한 발화로, 카카오의 대다수 서비스가 전부 마비되었던 것을 생각해보면 빠르다.
그렇기 때문에 이중 삼중으로 전원을 백업하고, 둘 이상의 발전소 또는 변전소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자체 UPS가 이중 삼중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자체 비상용 발전기는 덤.
UPS
그럼 여러번 나온 UPS에 대해서도 알아봐야 하는데...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무정전 전원장치) 를 풀네임으로 사용한다.
전력을 일정시간 계속 공급해 줄 수 있는 장치로, 도입되는 주파수나 전압의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해 준다.
거대한 다기능 배터리 인 셈...
종류로는, 먼저 구조상 분류로 사용하는 장치에 따라
• Static UPS - 전력의 변환에 반도체 소자 사용
Off-Line UPS, Line-Interactive UPS, On-Line UPS 로 분류 가능하다.
• Dynamic UPS - 기계장치(전력변환발전기) 를 사용
더 들어가면 너무 깊어서, 자료를 조사하다가 발끝만 담그고 도망치기로 했다...